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북텍사스는 바야흐로 한국식 치킨 전성시대”

 북텍사스 지역에 바야흐로 ‘한국식 치킨 전성시대’가 펼쳐지고 있다. 한인 소비자들은 물론 타문화권 소비자들의 입맛까지 사로잡으며 수많은 한국식 치킨 업체들이 성업 중인 것이다. 캐롤튼과 달라스 로얄레인 한인타운을 중심으로 한인 소비자들에게 익숙한 브랜드만 꼽아도 10여 개의 업체들이 영업 중이다.   가장 최근 북텍사스에서 한국식 치킨 시장에 도전장을 낸 업체는 푸라닭(Puradak)이다. 푸락닭은 최근 캐롤튼 올드 덴튼 로드(Old Denton Rd.)와 프랭크포드 로드(Frankford Rd.) 교차지점 남동 코너 쇼핑몰에 문을 열었다. 푸라닭은 지난 2014년 한국에서 설립된 치킨 프랜차이즈로, 명품 패션 브랜드를 연상케 하는 상호로도 유명하다.   이 외에도 펠리카나 치킨(Pelicana Chicken), 비비큐 치킨(bb.q Chicken), 넘버원 플러스 치킨(No.1 Plus Chicken), 충만치킨(CM Chicken), H마트 내 또래오래 치킨(Toreore Chicken), 굽네치킨(Goobne Chicken), 본촌치킨(Bonchon Chicken), 요리엔 치킨(Yorienn Chicken) 등이 북텍사스에서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지점을 운영하며 한국식 치킨 시장 점유율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들 업체들은 각자의 독특한 레시피로 차별화 전략을 벌이고 있다. 한국식 치킨이 북텍사스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 인기를 구가할 수 있는 배경에는 닭고기가 미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단백질 식재료라는 전재가 깔려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미국인들의 닭고기 소비량은 2010년부터 소고기 소비량을 넘어서며 꾸준히 선두를 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미가금류협회(NCC)의 통계에 따르면 2019년 미국인 1인당 닭고기 섭취량은 96.2파운드, 2020년에는 1인당 95.4파운드로 증가했다. 리서치 전문기관 스테이티스타(Statista)의에 따르면 2019년 미국인 1억 725만 명이 냉동 닭튀김을 소비했고 2023년에는 이 수치가 1억 7,951만 명에 달했다. 여기에 한국식 치킨 특유의 달고 매운 맛의 소스, 간장 마늘 소스 등 다양한 소스를 더해 바삭하게 조리한 게 타문화권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는 다는 분석이다. 한국식 치킨의 가장 큰 매력은 독특한 조리법과 다양한 종류의 양념이라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대부분의 한국식 치킨은 두 번 튀기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는 바삭하고 내부는 촉촉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타문화권 소비자들이 익숙했던 기존의 치킨과 달리 미국식 치킨에서 흔히 경험할 수 없었던 맛을 보인다. 전통적인 미국 치킨에 비해 한국식 치킨은 다양한 맛과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어 인기를 끈다. 대부분의 미국식 치킨은 기본 튀김이나 바비큐 스타일에 국한되는 것에 반해 한국 치킨은 매운맛, 달콤한 맛, 간장맛 등 다양한 소스를 통해 차별화된 맛을 볼 수 있다. 한류의 영향도 미국에서 한국식 치킨이 인기 메뉴로 자리잡을 수 있었던 큰 이유들 중 하나라는 분석도 있다. 한국 드라마나 예능에 나오는 한국 음식들이 타문화권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 마련인데, 치킨과 맥주를 함께 즐기는 이른바 치맥 문화가 타문화권 소비자들 사이에서 화제가 된 것이다. 드라마에서 본 한국식 치킨을 직접 시식해보고 싶어 한국식 치킨 업체를 찾는 것이다. 북텍사스와 같이 대형 코리안 타운이 형성돼 있다는 점도 타문화권 소비자들이 한류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다는 점도 한국식 치킨이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을 수 있게 된 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한국식 치킨이 미국식 치킨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기름지다는 인식도 도움이 된다. 실제로 KFC나 파파이스 치킨 등 전통적인 미국식 치킨을 맛을 보면 기름에 범벅이 된 듯한 맛과 식감을 낸다. 하지만 한국식 치킨은 비교적 기름이 덜하고 식감이 바삭해 기름진 음식이라는 인식을 피하게 된다. 일부 한국식 치킨 브랜드에서는 올리브유나 다양한 허브와 향신료를 활용한 레시피를 통해 치킨을 비교적 건강하게 즐길 수 있는 음식으로 다가간다. 마케팅의 전략도 하나의 성공 요인으로 지목된다. 한인 소비자들을 주요 타깃으로 하지 않고 타문화권 소비자들을 주요 타깃으로 해 서비스나 메뉴 구성, 광고 등을 현지화에 성공시켰다는 평을 받는다. 북텍사스를 비롯한 미 전역의 한국식 치킨 브랜드 확장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2006년 미주시장에 첫발을 내디딘 BBQ치킨을 시작으로 교촌치킨, 충만치킨, 페리카나, 굽네치킨 등이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한국식 치킨 업체들이 앞다퉈 미국 시장에 뛰어들면서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들 업체들이 한인타운에 몰려 한인 소비자들만 바라보기 보다는 얼마나 많은 타문화권 소비자들을 확보하느냐가 성패의 관건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토니 채 기자〉북텍사스 전성시대 한국식 치킨 타문화권 소비자들 한국 치킨

2025-01-31

“비비큐 치킨은 한국 맛의 앰배서더”

비비큐(bb.q) 치킨이 뉴욕시 내 8번째 지점을 퀸즈 아스토리아에 열었다. 이를 기념해 열린 오프닝 세레모니엔 한국 치킨을 사랑하는 인플루언서들로북적였다.   비비큐 치킨은 지난달 30일 아스토리아 지점(35-21 30애비뉴)에서 그랜드 오프닝 행사를 개최했다. 비비큐 치킨은 주로 그리스 음식점이 많은 이 지역에 ‘치킨 앤 비어’ 콘셉트로 문을 열었다.   밝고 깔끔한 분위기의 매장은 행사에 초대받은 인플루언서들이 하나둘 입장하면서 금세 북적였다. 이어 비비큐 관계자들의 리본 커팅으로 본격적인 행사가 시작됐다.   조슈아 이 비비큐 치킨 미주법인 총괄본부장은 “아스토리아에서도 한국과 똑같은 품질의 치킨을 제공하게 돼 기쁘다”며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프랜차이즈 중 하나인 비비큐 치킨은 앞으로도 멈추지 않고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하이라이트는 역시 치킨이었다. 치즐링, 허니 갈릭 등 주력 메뉴들이 하나씩 나오자 이를 촬영하려는 이들로 매장이 들썩였다.   비비큐 치킨 측은 “낮은 온도에서 닭고기를 튀겨 미국식 프라이드 치킨보다 가볍고 바삭하다”고 설명했다.   맵지 않고 부드러운 로제 떡볶이 역시 인기였다.   알록달록한 색과 달콤한 맛의 소주 칵테일도 눈길을 사로잡았다. 아스토리아점에서는 버터플라이티·리치·패션프루트 등 3가지 맛의 칵테일을 제공한다.   소주를 마시기 전 잔을 부딪치는 ‘짠’ 문화와 소주병을 흔들어 회오리를 만드는 ‘소주 회오리’ 등의 한국 음주 문화도 소개했다.   행사 진행자가 병을 6시에서 12시 방향으로 빠르게 흔들면 회오리가 생긴다고 설명하자마자 여러 명이 체험해보겠다며 나섰다. 이들의 첫 시도는 조금 어색했지만, 연이은 도전 끝에 모두 회오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총괄본부장은 “비비큐 치킨은 한국 음식·한국 맛의 앰배서더”라며 “한국을 아느냐고 물어볼 때 지금은 싸이, BTS, 손흥민을 얘기하지만 언젠가 비비큐 치킨을 물어보는 날이 올 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비비큐 치킨은 최근 음식 전문 미디어 테이스트오브홈으로부터 ‘최고의 패스트푸드 프라이드치킨’으로 선정된 바 있다. 이에 힘입어 내년 상반기까지 아칸소·아이다호·네브래스카 등 31개 주로 매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글·사진=이하은 기자앰배서더 비비큐 비비큐 치킨 한국 치킨 패스트푸드 프라이드치킨

2023-12-03

BBQ치킨, 40번째 가주 매장 오픈…선셋길에 웨스트 할리우드점

치킨 프랜차이즈 제너시스BBQ 그룹이 캘리포니아 지역에서 한국 치킨 영토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BBQ 치킨은 지난 14일 LA 웨스트 할리우드에 40번째 매장을 정식 개장했다고 밝혔다.     LA 웨스트 할리우드 지역 선셋길에 위치한 새 매장은 전통적으로 양념치킨으로 알려진 매콤한 고추장과 토마토 페이스트를 혼합한 시크릿 소스를 포함해 12가지 정통 한국 치킨의 맛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떡볶이, 김치볶음밥 등 타인종들 사이 인기를 얻고 있는 K 푸드와 다양한 음료도 제공한다.     BBQ 측은 “치킨과 맥주를 트렌디하게 결합한 치맥을 체험하며 한국식 보드카인 소주와 맥주를 즐길 수 있다”며 “색이 변하는 매혹적인 음료인 버터플라이 네불라를 포함해 6개의 시그니처 소주 칵테일 메뉴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그랜드 오프닝을 맞이해 특별 경품 추첨 이벤트도 진행한다.   BBQ치킨은 1995년 윤홍근 회장이 프리미엄 한국 치킨을 전 세계에 알리겠다는 취지로 설립했다. 프랜차이즈 1호점을 연지 4년 만에 1000개 매장을 오픈하며 매년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100대 브랜드’에서 30위를 기록하고 있다.   미주에서는 2014년 뉴욕 맨해튼 32번가에 직영 1호점을 시작으로 캘리포니아, 워싱턴, 뉴저지, 텍사스, 조지아, 매사추세츠, 메릴랜드, 콜로라도, 하와이, 노스캐롤라이나 등 22개 주에 진출해 250여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업체에 따르면 BBQ치킨 익스프레스, BBQ 치킨 카페, BBQ 치킨 앤 비어 등 3개의 프랜차이즈 모델로 미주 지역 프라이드치킨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2021년, 2022년 ‘네이션스 레스토랑 뉴스’가 선정한 ‘미국에서 가장 빨리 성장한 외식 브랜드’ 2위에 선정되기도 했다.   전 세계에서는 미국, 캐나다, 일본, 대만, 필리핀, 독일 등 57개국에 700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이은영 기자할리우드점 선셋길 치킨 프랜차이즈 한국 치킨 bbq치킨 익스프레스

2023-06-22

[푸드 칼럼] ‘K치킨’ 논란

한국 대중문화가 세계적 인기를 끌고 있다. K팝·K드라마·K뷰티·K푸드·K스타일 등 접두사 K가 여기저기 따라붙는다.     지난 10월 옥스퍼드 영어사전에 K드라마(K-drama)·한류(hallyu)·먹방(mukbang)·만화(manhwa)와 함께 ‘치맥’(chimaek)이 등재됐다.     김치나 불고기처럼 치맥이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 문화로 지구촌의 관심을 받고 있다는 기사의 잉크가 마르기도 전에 한 맛 칼럼니스트가 “한국 치킨은 맛없다. 닭이 작아 맛없다”고 맹공하면서 사회적 파문이 일었다.   이를 찬찬히 따져보자. 큰 닭이 육향이 강해서 작은 닭보다 더 맛있을 수 있다. 하지만 작은 닭은 맛이 없다는 말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요즘 치킨에 흔히 사용되는 1.5㎏짜리 닭은 1960년대 들어 본격화한 육계 중심의 양계업과 삼계탕, 치킨 같은 대중의 기호가 서로 맞물린, 이를테면 오랜 사회적 합의의 결과물이다.   예로 외국의 닭이 큰 것은 가슴살을 선호하는 식습성에 비롯했다. 세계에서 널리 쓰는 육계(broiler)는 거의 다 비슷한 몇 개의 종이다. 육계는 자연적으로 쌍가슴이 있는 콘월(Cornish) 품종의 수컷과 크고 뼈대가 큰 흰 플리머스 락(Plymouth Rocks) 품종의 암컷 사이에서 교배한 것을 주로 사용한다. 쌍가슴 콘월에서 보듯 가슴살이 육계의 기본 조건임을 알 수 있다.     프라이드치킨도 미국 남부에서 흑인들이 주로 먹던 ‘영혼의 음식’이었다. 살코기가 별로 없어 백인들이 버리던 닭다리에 흑인들이 밀가루를 입혀 튀겨먹기 시작했다. 1930년대 켄터키 프라이드치킨(KFC)도 전환점이 됐다. 닭을 찐 뒤에 기름에 튀긴 튀김 닭이 나오면서 프라이드치킨은 미국인의 국민 음식이 됐다.   한국인에게 닭 요리는 대부분 닭을 통째로 삶아 먹는 백숙이었다. 1960년대 양계사업이 본격화하면서 ‘1인 1닭’ 할 수 있는 삼계탕이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1971년 국내 식용유가 출시되며 통닭의 시대가 열렸다. 닭을 쪼개 양념한 뒤 기름에 통으로 튀겨 먹는 시장통닭이다.     1970년대 말 또 다른 변화가 몰려왔다. 속살까지 염지한 커다란 프라이드치킨이 들어왔다. 닭 부위를 나누고, 이를 찌면서 튀겨먹게 됐다.   하지만 한국인은 여전히 가슴살을 퍽퍽하다고 여기고 기름지고 부드러운 다리를 선호한다. 작은 닭을 튀기면 닭고기는 물론 염지한 양념과 기름에 튀긴 탄수화물이 어울리는 매혹적인 맛이 완성된다. 이른바 한국형 치킨이다. 여기에 맥주를 곁들이면 치맥이 완성된다.     큰 닭도 맛있지만 작은 닭도 맛있다. 게다가 통째 튀긴 치킨에는 한 마리 닭에 대한 한국인의 열망이 녹아 있다. 음식 문화는 재료를 준비하는 사람들, 소비하는 사람들의 교감이 빚어낸 집단 식성이다. 음식 앞에서 조금씩 겸손해지자. 박정배 / 음식평론가푸드 칼럼 치킨 논란 켄터키 프라이드치킨 한국 치킨 삼계탕 치킨

2021-12-0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